2023. 12. 15. 17:57ㆍ정보관리기술사/131회
간단요약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두 대 이상의 단말기를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424kbps ~ 1Mbps의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의 한 종류이다.
배경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서 유래되었으며 실제로 보안 목적으로 통신 범위가 더 짧은 RFID의 하위 집합이다. 2002년 Sony, NXP에 의해 개발되고, NFC의 표준화된 기술로 ISO/IEC 18092가 제정되었다. 2004년 Sony, Nokia, Philips가 모여 NFC 포럼이 설립되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동작 방식
일반적인 NFC 통신은 임의의 장치가 Initiator로 작동하게 되면 다른 대상이 Target이 되는 반이중 방식으로 동작한다. Initiator NFC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RF를 송출해 RF 필드를 검색하고, Target이 검색되면 연결과 통신을 시작한다.
NFC 통신방식에는 Active와 Passive 통신 방식이 있으며, Active 방식에는 Initiator와 Target 모두 자체 전력을 이용한 RF 필드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NFC 태그 리더 및 P2P 지원이 가능하다. Passive 방식은 Initiator가 발생시킨 RF 필드의 자기장을 안테나로 받아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해당 기기의 명령에 응답함으로써 통신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NFC 기기는 Active/Passive 통신방식과 함께 카드 에뮬레이션, 리더, P2P 모드의 세 가지 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NFC 기기는 Passive Target으로 동작하며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Active Initiator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비접촉 전자결제 및 교통카드, ID카드를 사용한 인증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리더 모드
NFC 기기가 Active Initiator로 동작하며 외부 Passive Target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형태로, 스마트포스터 정보 열람 또는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로 활용 가능하다.
P2P 모드
두 개의 서로 다른 Active NFC 기기가 상호 통신하는 형태로써 기기간 데이터 교환을 지원한다. P2P 모드는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사진, URL 등의 소규모 데이터 교환을 위한 모든 부분에서 활용할 수 있다.
활용 사례
데이터 전송
휴대폰, 전자기기 등의 콘텐츠나 데이터를 다른 NFC 지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
삼성페이(MST, NFC 지원), 구글페이, 애플페이 등 비접촉식 결제를 위해 NFC 칩을 사용하며,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장치를 NFC 리더기 가까이에 가져가면 결제할 수 있다.
교통카드
NFC 칩이 내장된 카드 또는 휴대기기를 대중교통 탑승 시 사용할 수 있다.
참고자료
- 노순국, 최동유, (2013), NFC의 표준기술 분석, 동향 및 전망, 2013년 9월 스마트미디어저널 제2권 제3호, 10-16
- History of Near Field Communication, (2023.12.15), http://nearfieldcommunication.org/history-nfc.html
- KS X ISO/IEC 18092:2013, 정보기술 - 전기통신과 시스템 간 정보 교환 - 근거리 무선 통신(NFC) -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1
'정보관리기술사 > 131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시스템 감리와 PMO 비교 (1) | 2023.12.29 |
---|---|
데이터 차원 축소(Data Dimensionality Reduction) (0) | 2023.12.27 |
[클라우드 컴퓨팅] Service Model, Deployment Model (1) | 2023.12.19 |
폭포수(Waterfall) 모델 VS 애자일(Agile) 모델 (1) | 2023.12.17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0) | 2023.12.15 |